슬럼가에서 자고 나란 주인공 '람' 이 퀴즈쇼에서 우승하게 된 파란만장한 스토리의 영화 '슬럼독 밀리어네어'는 국내에서도 흥행을 기록하며 인기몰이를 했었지요. 영화 속에 나오는 퀴즈쇼는 실제로 2000년부터 현재까지 인도에서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는 '(꼰 바네가 크로르파티(Kaun Banega Crorepati)' 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직역하자면 '천만루피장자가 될 사람은 누구인가?' 이죠. 왜 하필이면 천만루피장자 일까요?
밀리어네어. 즉, 백만장자는 순자산이 백만 단위 통화를 초과하는 사람을 지칭하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당한 부자를 가리키는 용어이기도 하지요. 인도에서는 '크로르파티'. 즉 '천만루피장자'가 일반적으로 부자를 지칭하는 단어인데요, 실제로. 천만루피는 약 14만달러, 한화 1억 6천만원에 해당합니다. 그렇다면 인도에는 백만을 지칭하는 단어가 없는 것일까요?
[렉과 크로르]
인도의 숫자 체계는 우리에게 익숙한 국제 숫자 체계와는 다른 점이 있습니다. 바로 독특한 숫자 단위인 렉(Lakh)과 크로르(Crore) 인데요, 각각 십만, 천만을 지칭합니다. 천 단위로 끊는 국제 숫자 체계와 달리 인도는 천 이상의 숫자 단위는 백 단위로 끊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천 단위 이상에는 세 자리마다 쉼표를 찍는 국제 방식과는 달리 두 자리 마다 쉼표를 찍는다라는 얘기죠. 예를 들어 국제식 숫자 읽기는 '천(Thousand)-백만(Million)-십억(Billion)-조(Trillion)'로 구분하지만 인도식 숫자 읽기는 '천(Hazar)- 십만(Lakh)- 천만(Crore)- 조(Lakh crore)'로 구분합니다. 조금 더 정확히 하자면 십억(Billion)을 부르는 Arab이라는 숫자 단위가 있기는 하지만 통상 잘 사용하지 않고 천만을 뜻하는 크로르 앞에 100을 붙여 One Hundred 크로르 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천조(Quadrillion) 또한 천만을 뜻하는 크로르를 두 번 사용하고 앞에 10을 붙여 Ten 크로르 크로르 라고 지칭하고 있습니다. 무척이나 복잡한 것처럼 들리지만, 천만을 10의 5승, 크로르를 10의 7승이라고 생각하시면 보다 쉽게 이해가 됩니다. 이러한 인도식 숫자 체계는 현재 인도 외에도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네팔, 미얀마 등의 주변국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베다에서 유래]
인도인들이 숫자에 강하다는 것은 여러모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19단 열풍의 주역이 바로 인도이기도 하였지요. 이러한 19단의 원리는 고대 인도의 '베다 경전'에서 유래된 것입니다. 인도의 수학자 스와미 바라타 크리슈나가 산스크리트어로 구전되어온 경전인 베다의 계산과 수학에 관련된 부분을 해석하여 16개의 법칙과 13개의 파생법칙으로 재구성한 것이 '베다 수학'이기 때문입니다.
인도식 숫자 체계는 이 유명한 베다 경전에서 시작되었습니다. 놀라운 것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숫자들이 1세기 인도 문화에서 비롯된 브라흐미 숫자에서 시작된 것인데, 훨씬 이전부터 구전되어 오던 것을 텍스트로 기록하기로 한 것이 1세기이기 때문라는 점이지요. 이점을 감안하면 인도식 숫자 체계는 초창기 베다의 역사인 기원전 1,7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예외도 존재]
이렇게 인도식 숫자 체계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고 있지만 일각에서는 글로벌 시대에 혼돈을 초래한다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여전히 학교에서 인도식 숫자 체계로 교육이 이루어지다보니 실제로 고등교육 과정에 달할 때까지 국제식 숫자 체계를 모르는 학생들이 많을 정도이기 때문입니다. 여전히 인도의 정부 부처, 공공 및 민간 은행들이 인도식 숫자 체계에 따라 통계를 게시하고 있기도 하지요.
그러나 예외도 있습니다. 초창기부터 대외거래가 이루어지던 인도증권거래위원회에서는 국제식 숫자 체계를 사용하고 있고, 영국 식민 시절에 처음 설립된 인도 중앙은행의 경우도 모든 통계 발간 보고서에서 국제식 숫자 체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1, 2대 인도 중앙은행 총재가 영국인이었고, 설립 약 10년이 지난 1943년에 이르러 데쉬무크(Deshmukh)가 첫 인도인 총재로 취임하였기 때문입니다.
어떠신가요? 앞으로 인도 현지 소식을 접할 때 '렉'과 '크로르'가 나오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10의 5승', '10의 7승'을 꼭 기억하시길 바랍니다.